작금의 시대에 대중음악과 비대중음악(?)을 가르는 기준이 무엇인가요?
따지고 보면 '이 시대에 도대체 이런 물음이 필요하기나 한거냐?' 라고 되물으신다면 솔직히 뭐라 명료하게 할 말이 없습니다만, 단순하게 그냥 개인의 호기심입니다.
전 아주 단순하게 생각해서, 아주 아주 단순하고 막연하게 '내가 듣는 음악은 대중음악이 아니다.'라고 생각해왔습니다. 그런데 어느날 제 음악 취향을 아는 친구놈이 '넌 대중가요 듣지 않느냐?' 라고 툭 말을 내던지더군요. 이때부터 고민이 시작됐습니다. 그 친구는 클래식 혹은 그와 견줄만한 음악들(?)을 듣는 친구라 금마가 저에게 뭔 말을 하고 싶은지는 파악했으나 제 의문은 여기서 그치지 않더군요.
제가 대중음악과 비대중음악을 '주류'와 '비주류'라고 생각(착각)했다는 점까지 반성이 되니까 대중음악과 비대중음악을 가르는 기준이 굉장히 어렵게 다가오더라구요. 지금보다 계층과 사회가 단순하고 명료하게 나누어졌던(귀족과 서민) 옛날이야 이 기준이 뚜렷했겠지만 제가 얕은 소견으로 생각해보니까 현대는 다양한 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상황이 너무나도 달라져서 기준을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 같더라구요.
꼽아볼 수 있는 기준들이야 여럿 있겠죠. 음악의 구성적 측면이라든가, 상업성이라든가, 오락성이라든가, 매체라든가, 예술이라든가, 주요 대상(청중)이라든가, 소양이라든가, 음악 교육적 측면이라든가, 지식적인 측면도 있겠고 등등 더 있겠죠. 그리고 가장 논쟁적이라고 생각되는 것들 중 하나인 취향도 생각해볼 수 있겠네요. 구체적으로는 대중과 엮어 대중의 취향 그리고 이와 엮어서 상업성이랑도 같이 고려해보는 식으로요. 그리고 더 찾아보니까 대중음악 외에 순수음악, 절대음악 등등의 용어도 있는 것 같긴 합니다만, 공부를 하지는 않아서 뭐가 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혹시 음악을 공부하시는 분이 계시다면 어떻게 배우셨는지 궁금하고
굳이 음악을 공부하시지 않은 분이라도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사실 가장 큰 동기는 (여러 의미를 함축한) 한국 땅에서 (한국에서 여러 의미를 함축한) 다양한 장르의 메탈을 들으시는 분들은 이 물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가 가장 궁금합니다. 그래서 이 질문을 메킹에다가 올리는 거구요 ㅎㅎ
P.S 이와 더불어 최근 또 심심풀이 삼아 하는 생각이 집단지성과 반달리즘입니다. 계기는 최근에 올라온 계시글때문인데요. 사실 예전부터 어렴푹하게나마 항상 고심하던 문제이기도 하구요. 내용인즉, 다수의 개체들이 모여 음악(혹은 영화, 게임 등등)을 평가하고 좋은 음악을 꼽는 다는 점에서 집단 지성이 형성되어있다는 전제하에 어떠한 행동이 반달리즘으로 고려될 수 있느냐 하는 문제입니다. 사실 이 질문도 질문으로서 성립되기 위한 선행 질문들이 많은데 일단 세세한 것들을 배제하고 제가 생각하는 골격 자체는 이정도네요.
혹시 모를 오해에 변명 몇마디 덧붙이자면 메킹에서 종종 보이는 상황으로부터 시작한 생각이지만 고심 자체는 이 사이트와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이미 이 사이트에서는 Eagles님이 공지사항으로 간결하고 깔끔하게 입장을 표명하셨기에 저에게 영감을 준 상황은 아무런 문제가 될 게 없다는 게 제 입장입니다.
전 아주 단순하게 생각해서, 아주 아주 단순하고 막연하게 '내가 듣는 음악은 대중음악이 아니다.'라고 생각해왔습니다. 그런데 어느날 제 음악 취향을 아는 친구놈이 '넌 대중가요 듣지 않느냐?' 라고 툭 말을 내던지더군요. 이때부터 고민이 시작됐습니다. 그 친구는 클래식 혹은 그와 견줄만한 음악들(?)을 듣는 친구라 금마가 저에게 뭔 말을 하고 싶은지는 파악했으나 제 의문은 여기서 그치지 않더군요.
제가 대중음악과 비대중음악을 '주류'와 '비주류'라고 생각(착각)했다는 점까지 반성이 되니까 대중음악과 비대중음악을 가르는 기준이 굉장히 어렵게 다가오더라구요. 지금보다 계층과 사회가 단순하고 명료하게 나누어졌던(귀족과 서민) 옛날이야 이 기준이 뚜렷했겠지만 제가 얕은 소견으로 생각해보니까 현대는 다양한 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상황이 너무나도 달라져서 기준을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 같더라구요.
꼽아볼 수 있는 기준들이야 여럿 있겠죠. 음악의 구성적 측면이라든가, 상업성이라든가, 오락성이라든가, 매체라든가, 예술이라든가, 주요 대상(청중)이라든가, 소양이라든가, 음악 교육적 측면이라든가, 지식적인 측면도 있겠고 등등 더 있겠죠. 그리고 가장 논쟁적이라고 생각되는 것들 중 하나인 취향도 생각해볼 수 있겠네요. 구체적으로는 대중과 엮어 대중의 취향 그리고 이와 엮어서 상업성이랑도 같이 고려해보는 식으로요. 그리고 더 찾아보니까 대중음악 외에 순수음악, 절대음악 등등의 용어도 있는 것 같긴 합니다만, 공부를 하지는 않아서 뭐가 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혹시 음악을 공부하시는 분이 계시다면 어떻게 배우셨는지 궁금하고
굳이 음악을 공부하시지 않은 분이라도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사실 가장 큰 동기는 (여러 의미를 함축한) 한국 땅에서 (한국에서 여러 의미를 함축한) 다양한 장르의 메탈을 들으시는 분들은 이 물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가 가장 궁금합니다. 그래서 이 질문을 메킹에다가 올리는 거구요 ㅎㅎ
P.S 이와 더불어 최근 또 심심풀이 삼아 하는 생각이 집단지성과 반달리즘입니다. 계기는 최근에 올라온 계시글때문인데요. 사실 예전부터 어렴푹하게나마 항상 고심하던 문제이기도 하구요. 내용인즉, 다수의 개체들이 모여 음악(혹은 영화, 게임 등등)을 평가하고 좋은 음악을 꼽는 다는 점에서 집단 지성이 형성되어있다는 전제하에 어떠한 행동이 반달리즘으로 고려될 수 있느냐 하는 문제입니다. 사실 이 질문도 질문으로서 성립되기 위한 선행 질문들이 많은데 일단 세세한 것들을 배제하고 제가 생각하는 골격 자체는 이정도네요.
혹시 모를 오해에 변명 몇마디 덧붙이자면 메킹에서 종종 보이는 상황으로부터 시작한 생각이지만 고심 자체는 이 사이트와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이미 이 사이트에서는 Eagles님이 공지사항으로 간결하고 깔끔하게 입장을 표명하셨기에 저에게 영감을 준 상황은 아무런 문제가 될 게 없다는 게 제 입장입니다.
운영자에 의해 삭제되었습니다. IP : 1.236.221.82 | ||
나의 평화 2017-11-29 14:29 | ||
그냥 단순하게 많은 사람이 선호하면 대중음악이고 소수가 좋아하는 장르는 비대중 음악이겠죠~시대에 따라 지역에따라 달라지는 것이구요~핀란드의 대중 음악은 우리나라와 다르겠죠. | ||
휘동이 2017-11-29 14:52 | ||
할말이 많겠지만 그냥 간단하게 표현해보면 이렇지 않을까요.. 가볍게 봐주시면 되겠네요. ^^ 음악감상 중인 철수와 영희... 철수 : 이 음악 어때? 영희 : 어.. 그냥 들을만 해 (등등의 일반적인 표현) ===> 대중음악 반면, 영희 : 이게 뭐야??? (또는) ........... ===> 비대중음악 | ||
갈비맨 2017-11-29 16:28 | ||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 음악을 틀었을 때 아무 반응 없으면 주류 음악. 욕설 및 각가지 거부반응이 나오면 비주류 음악. | ||
인쓰 2017-11-29 16:48 | ||
확실한건 헤비메탈은 비주류입니다. | ||
똘복이 2017-11-29 17:10 | ||
그냥 장르 다 떠나 대형 온/오프라인 레코드점에서 파냐 안파냐로... | ||
Redretina 2017-11-29 17:15 | ||
일단 대중음악과 주류/비주류에 대해선 생각하신 게 맞는 듯 합니다. 애초에 대중문화라는 말 자체가 귀족문화에 반대되는 성질의 말이니 현재에 와서는 주류든 비주류든 귀족이 아닌 일반 대중들, 즉 일반 시민들의 손에서 탄생하는 모든 음악은 다 대중음악입니다. 락이든 메탈이든 힙합이든, 익스트림 메탈이든 하드코어 펑크든 방구석 똥블랙이든 뭐든 우리가 다 비주류라고 생각하는 음악들도 결국은 '대중음악'이라는 틀 안에 있죠. 왜냐면 '대중'이 만든 음악이니까요. 물론 메탈은 명백히 '비주류'입니다. 다만 현대에 와서 대중음악이 아닌 음악이 있을까에 대해서는 딱히 뭐라고 정의를 못 내리겠습니다. 귀족이라는 대치대상이 사라진 지금에 와서 대중이 아닌 누군가를 찾으라고 한다면 결국 전문 예술인이 행하는 행위예술이나 상업적인 목적이 배제된 순수예술 쪽을 가리킬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따지면 팝 아티스트들은 전문 예술인이 아닌가 라는 문제가 또 발생하겠죠. 메탈 한정으로만 봐도 블랙 사바스나 주다스 프리스트같은 대형 밴드나 잉베이 맘스틴, 루카 투릴리 등의 천재적인 작곡가들이 함께 한 작품들을 일반적인 아이돌 음악과 동일선상에 놓을 수 있는가? 만약 그렇지 않다 쳐도 그들의 음악은 명백히 모든 대중들이 사랑했던 '대중음악'의 꽃이 아닌가? 라는 문제들이 던져질 수 있겠죠. 제 생각에 결국 이러한 경계는 날이 갈 수록 모호해질 수밖에 없다고 봅니다. 결국 대중음악이 아닌 것을 찾으라고 한다면 귀족이라는 개념이 존재했던 과거의 유산들 뿐이죠. 친구분이 메탈을 가리켜 '대중음악'이라고 언급한 것도 아마 '클래식'과 비교했을 때의 이야기일 뿐일 겁니다. 클래식은 명백히 대중들이 즐길 수 없는 음악이었고 철저히 귀족을 위해, 귀족에 의해서 만들어진 음악이니까요. 국악으로 따진다면 민요나 판소리 등을 제외한 제례음악이나 궁중음악같은 게 해당되지 않을까 합니다. 이러한 것들 외에 대중음악에 반대되는 개념이 '현재'에는 과연 존재할까.. 저로써는 그 답을 찾을 수가 없군요. | ||
Redretina 2017-11-29 17:25 | ||
P.S.에 대해선 별로 신경쓰지 않고 있습니다. (댓글을 수정합니다. 반달리즘에 대해서 제가 약간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 있었네요). 다만 현재 메킹에서 일어나는 일은 과연 반달리즘으로 볼 수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아무리 평점 높은 앨범이라도 낮은 점수를 매긴 코멘트가 없는 것도 아니고 개개인의 취향이나 가치관에 따라서 평점은 달라질 수 있는 것인데 굳이 그거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가 있나 싶습니다. 코멘트에 꼭 음악적인 가치관이나 평가를 담으라는 규정도 없고요. 아무 말 없이 그냥 점수만 적어놓으시는 분들이 그 분만 있는 건 아닌데 왜 굳이 그 분이 타겟이 되어야 하는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그냥 개인의 자유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
Inner Self 2017-11-30 00:44 | ||
한국에서는 그 뭐랄까.. 급진적인 느낌?? 이런 코드가 있으면 대중문화에서 무조건 배제되더군요. 온건한 주제나 익숙한거 그 중에서 자기느낌 5%만 더해서 계속 나오더군요. | ||
순수한아이 2017-12-01 08:24 | ||
저번에 읽었던 음악학 저서에서는 클래식 제외하면 사실상 전부를 대중음악이라고 정의짓던게 기억나네요. | ||
Up The Irons 2017-12-01 10:17 | ||
한국 한정 : 아티스트별로 사랑타령이 반 이상이면 대중음악 | ||
루이스 2017-12-03 15:08 | ||
진입장벽이 기준인거 같습니다. 메탈에 비해 힙합이 상대적으로 매니아 층이 많은 것도 그렇고 edm 이 흥하는 이유도 그렇고.. | ||
View all posts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