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AV/FLAC로 리핑할 때는...
24비트로 리핑하세요.
보다 더 많은 숨어있는 음을 가져올 수 있어요. 예시 : FLAC/WAVE, 24–bit, 2,116kbps, 44,100kHz, Stereo.
이런식으로 리핑을 하게 되면 용량은 더 나가지만, 음질은 16비트보다 더 좋습니다.
MP3로 리필할 때는 320KBIT/S보다는 192KBIT/S로 리핑하세요.
용량도 적으면서 높은 음질을 유지합니다.
예시 : 192kbps avg, 44,100kHz, Joint–Stereo. / Lame ACM 3.99.
Channels : Joint-Stereo
Quality : Highest
Samplerate : 44.100
Original : No
Copyrights : No
Use CRC Error Protections : No
골드웨이브로 리핑을 하게되면 뒤에 약 1초 가량을 잘라내는데요,
그것은 갭리스[격차감소]를 위함이라고 합니다.
보다 더 많은 숨어있는 음을 가져올 수 있어요. 예시 : FLAC/WAVE, 24–bit, 2,116kbps, 44,100kHz, Stereo.
이런식으로 리핑을 하게 되면 용량은 더 나가지만, 음질은 16비트보다 더 좋습니다.
MP3로 리필할 때는 320KBIT/S보다는 192KBIT/S로 리핑하세요.
용량도 적으면서 높은 음질을 유지합니다.
예시 : 192kbps avg, 44,100kHz, Joint–Stereo. / Lame ACM 3.99.
Channels : Joint-Stereo
Quality : Highest
Samplerate : 44.100
Original : No
Copyrights : No
Use CRC Error Protections : No
골드웨이브로 리핑을 하게되면 뒤에 약 1초 가량을 잘라내는데요,
그것은 갭리스[격차감소]를 위함이라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192Kbps와 320Kbps의 차이를 확연히 느끼는 쪽이고 (제 주위 분들도) Flac같은 무손실 음원과 mp3와의 차이도 크게 느끼다보니 192Kbps는 애초에 들을 생각도 안하게 되고, 음원도 320Kbps와 Flac 둘다 한꺼번에 모아놓게 되는데... 음질 차이가 선명해서, 혹여 320Kbps보다 192Kbps를 선택하게되는 이유는 단순 용량면의 이유로 인함이 아닐까요? 192Kbps가 고음질이란건 객관적으로 아닐 듯 해서욤... | ||
개인적으론 192와 320차이를 크게 못느껴서 192로 리핑하는 편입니다. | ||
22ㅋ | |||
전 아에 cd사면 용량대비 음질이 좋은 ogg로 리핑합니다 | ||
16bit 에서 24bit로 늘려봐야 샘플레이트로 저하로 인한 손실영역이 복구되진 않을 텐데요. 왜 음질이 좋아진다는 건지 잘 이해가 안되네요. 그리고 코덱과 파일의 상성에 따라 손실되는 정보량도 다릅니다. 128k임에도 192k에서나 볼 수 있는 영역(16000 Mhz 이상)까지 파형이 존재하는 게 있는 가 하면 320k임에도 192k 보다 약간 나은 정도로 손실 영역이 많은 경우도 있구요. 그나저나 이 모든 것에 앞서 선행되야 되는 건 오디오 환경이 구축되지 않으면 구별하기 힘들다는 점이죠. | ||
음 전 이해가 안되네요. 애초에 CD가 16bit 44kbps 인걸로 아는데 그걸 리핑할때 24bit로 한다고 없는 소리가 만들어질리는 없지 않나요? 용량만 뻥튀기되는거 같은데.. 192kbps mp3 파일을 320kbps로 변환해봤자 용량만 커지고 음질은 그대로인것처럼요. 시디에서 안 들리던 소리가 리핑하면 들린다는 얘긴데 말이 안되는거 같고.. | ||
막귀라서 행복한 1인...192정도면 아주 흡족한 감상이 가능해서 행복하군요 | ||
44.1kHz 넘게 설정하시는건 의미가 없습니다. CD음원 자체가 44.1kHz라서 올려봤자 그저 용량만 뻥튀기인셈이지요. mp3 같은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손실 음원을 무손실로 뻥튀기 하는 것 말고도 mp3 mp3 트랜스 코딩된 자료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손실 음원이니 설마 트랜스 코딩이 있겠어?'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여러분이 혹시 아실런지 모르겠는데 mp3 320 음질에서 같은 320으로 변환해도 트랜스 코딩입니다. 스펙트럼에 변형이 생깁니다. 심지어 파일 자체가 변형되기 때문에 데이터 해쉬 값도 달라집니다. 무손실끼리는 수백, 수천 번 변형해도 손실이 없습니다. 반면에 손실된 음원은 변환하면 변환할 수록 손실률이 계속 증가합니다. 그리고 인코딩 코덱에 따라 스펙트럼이 달라집니다. MP3 Fraunhofer IIS 320kbps와 MP3 Lame 320kbps은 스펙트럼이 다릅니다. | ||
저는 128이상이면 그저 만족합니다 ㅋ | ||
View all posts (169)